과학 2021년 공공부문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온라인 설명회 개최
페이지 정보
작성자휴먼아카데미 댓글 0건 작성일 20-12-18 14:16본문
| 2021년 공공부문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장비· 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온라인 설명회 개최 - 예정 사업규모 4조 9,429억원, 전년대비 3.2% 증가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월30일(월) 「2021년 공공부문 소프트웨어(SW), 정보통신기술(ICT)장비, 정보보호 수요예보(예정)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 온라인 설명회는 네이버TV, 카카오TV, 유튜브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이번에 발표된 결과는 SW 산업정보종합시스템(www. swit.or.kr), ICT 장비 공공수요정보시스템(Kncb.iitp.kr) 및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www.kisis.or.kr)을 통해 제공된다.
*소프트웨어산흥진흥법 제 19조(SW사업의 수요예보),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제 29조(정보통신장비 수요예보),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 6조(구매수요정보의 제공)에 따라 공공부문의 SW, ICT장비, 정보보호 구매 수요와 SW, ICT 장비, 정보보호사업 추진 계획을 매년 2회(11월 : 차년도 예정치, 3월 : 당해년 확정치)조사하여 발표
- 공공부문(국가기관, 지자체, 교육기관, 공공기관)의 2,230기관 조사(정보보호 분야는 정보보호 산업 진흥법에 따라 공공부문에 사립대학, 대학원을 추가하여 2,580 기관 조사)
□ 조사결과 종합
○ 2021년 공공부문 SW, ICT 장비 총 사업금액 예정치는 4조 9,429억원(전년 예정치 4조 7,890억원 대비 1,539억원, 3.2% 증가)으로 조사되었다. 
- 세부적으로는 ① SW구축 3조 6,557억원(총 사업금액의 74.0%), ② 상용SW 구매 3,133억원(총 사업금액의 6.3%), ③ ICT장비 9,739억원(총 사업금액의 19.7%)으로 집계되었다.
- 이 중 정보보호 관련 내용이 포함된 사업금액은 총 1조 458억원이며, 해당 사업 내 정보보호 투자, 구매 예산은 6,046억원으로 조사되었다.
(단위 : 억원, %, 건)
| 구분 | 전체 | SW구축(비중) | SW구매(비중) | ICT장비(비중) | |
| 2020년 | 금액 | 47,890 | 34,943(73.0) | 3,163(6.6) | 9,784(20.4) | 
| 건 | 15,801 | 7,680(48.6) | 3,994(25.3) | 4,127(26.1) | |
| 2021년 | 금액 | 49,429 | 36,557(74.0) | 3,133(6.3) | 9,739(19.7) | 
| 건 | 14,749 | 7,232(49.0) | 3,747(25.4) | 3,770(25.6) | |
*ICT장비는 네트워크, 컴퓨터, 방송장비를 구분하여 조사
□ 분야별 조사결과
<① SW구축 사업>
○ SW구축 사업금25.6)액은 3조 6,557억원이며, 세부적으로는 (1)운영 및 유지관리 사업 2조 769억원(총 사업금액의 56.8%), (2) SW개발 사업 1조 2,722억원(총 사업금액의 34.8%)등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건)
| 구분 | 전체 | ISP | SW개발 | 운영유지 | 환경구축 | 콘텐츠 | DB구축 | |
| 2020년 | 금액(비중) | 34,943 | 361(1.1) | 12,303(36.2) | 19,934(57 0) | 1,284(3.7) | 109(0.3) | 952(2.7) | 
| 건(비중) | 7,680 | 153(2.0) | 1,396(18.1) | 5,673(73.9) | 260(3.4) | 58(0.8) | 140(1.8) | |
| 2021년 | 금액(비중) | 36,557 | 434(1.2) | 2,722(34.8) | 20,769(56.8) | 1,544(4.2) | 109(0.3) | 979(2.7) | 
| 건(비중) | 7,232 | 148(2.0) | 1,236(17.1) | 5,485(75.8) | 221(3.1) | 55(0.8) | 87(1.2) | |
- 또한, 차년도 SW구축 사업 중 대기업참여제한 예외인정사업을 조사한 결과, 이미 인정받은 사업이 12건(전체 7,232건 중 0.17%), 예외인정 신청을 검토 중이라고 응답한 사업은 5건(0.07%)으로 나타났다.
<② SW구매사업 >
○ SW구매 사업은 3,133억원이며, 세부적으로는 (1) 사무용SW  1,085억원(총 사업금액의 34.6%) (2) 보안SW  866억원(총 사업금액의 27.7%)등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건)
| 구분 | 전체 | 사무용SW | 보안SW | 운영체계SW | 시스템관리SW | 기타SW | |
| 2020년 | 금액(비중) | 3,163 | 1,406(44.5) | 687(21.7) | 251(7.9) | 268(8.5) | 551(17.4) | 
| 건(비중) | 3,994 | 1,293(32.4) | 1,582(39.6) | 280(7.0) | 164(4.1) | 675(16.9) | |
| 2021년 | 금액(비중) | 3,133 | 1,085(34.6) | 866(27.7) | 213(6.8) | 161(5.1) | 808(25.8) | 
| 건(비중) | 3,747 | 1,275(34.0) | 1,482(39.6) | 168(4.5) | 132(3.5) | 690(18.4) | |
<③ ICT장비 구매 사업>
○ ICT 장비 구매 사업은 9,739억원이며, 세부적으로는 (1)컴퓨팅 장비 6,833억 원(총 사업금액의 70.2%) (2)네트워크 장비 2,363억원(총 사업금액의 24.3%) (3)방송장비 543억원(총 사업금액의 5.5%)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건)
| 구분 | 전체 | 컴퓨팅 | 네트워크 | 방송 | |
- 이전글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1개국 코로나19 대응과 회복을 위한 내년도 협력 방향 논의 20.12.18
- 다음글2020 대한민국 청소년 온라인 창업경진대회 결과 발표 20.12.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공지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