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이 즐겨 마시는 국민 음료인 식품첨가물『아스파탐』막거리는 안전한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휴먼환경일보 댓글 0건 작성일 25-05-22 21:15본문
식품첨가물 유화제가
대장암 발병위험 높인다
아이스크림 속 유화제등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유화제(emulsifier)가
대장암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적이 있다
유화제란 어떤 액체가
섞이기 어려운 다른 액체에,
이를테면 기름이 물에 잘
섞이게 하는 화학적 첨가물로
식품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고 저장수명을 늘려준다.
미국 조지아 주립대학 의생명과학연구소
(Institute for Biomedical Sciences)의
에밀 비에누와 박사는
식품 첨가 유화제로 널리 쓰이는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폴리소르베이트-80’이
장내 세균총(미생물 집단)을
교란시켜 장에 염증을 유발하고
대장암을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에 이 두 가지
유화제를 저용량 투여한 결과,
장내 세균총의 균형이 깨지면서
저도(low-grade) 염증이 발생하고
대장암 발병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쥐들에서는 세포 증식과 세포
사멸의 균형도 깨지면서 종양이
형성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됐다.
일반적으로 점액조직으로 뒤덮여
있는 장표면은 해로운 박테리아가
장의 상피세포를 뚫고
들어가지 못하게 돼 있다.
하지만 유화제는 박테리아가
상피세포를 통과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주립대학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연구팀은 유화제가 투여된
쥐들이 먹이 섭취량 증가,
체중 증가,고혈당,인슐린 저항등
대사증후군이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적이 있다
이 연구결과는 '암 연구'(Cancer Research)
최신호(2016년 11월 7일 자)에 발표됐다.
유화제는 원료 배합 과정에서
지방이 다른 재료들과 잘 섞이게 하고,
질감을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유화제를 사용하면 빵의
탄력을 높이고 부드럽게 해준다.
유제품 및 생크림의 응집력을
좋게 하고, 부피감을 유지시켜준다.
초콜릿, 캐러멜의 광택과
감촉을 좋게 해준다.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이
대표적인 유화제다.
현재 슈퍼마켓에 진열되는 빵은
유화제를 첨가하여 유통
기간을 늘린 것이다.
유화제를 사용하는 가공식품
으로는 아이스크림, 디저트 토핑,
빵, 케이크, 마요네즈, 마가린,
사탕/껌종류등이 있다
화장품에는 에멀젼, 크림
등에 주로 사용된다.
아이스크림 뒷면에는 백설탕,
가공버터(우유,수입산), 혼합분유(수입산),
준초콜릿(대두), 물엿,
기타가공품(가공혼합분말),
코코아분말, 구아검, 카라기난,
로커스트콩검, 유화제, d-토코페롤,
구연산, 카제인나트륨,덱스트린,
카라멜색소, 산탄검, 정제소금,
합성착향료(초콜릿향, 바닐라향),
천연색소(코치닐추출색소,
치자청색소) 등이 들어있다.
실제 유화제는 유해한 첨가물이나
위험물질이 체액에 녹아드는것을 도와
신장장애, 피부장애, 간손상, 내장세포
등을 파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유화제에는 글리세린
지방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르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카제인나트륨, 레시틴 등이 있다.
식품에 사용되는 것이 허락된
종류는 모두 28가지 정도다.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는
동물 실험을 통해 간이나
신장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는
사실과 함께 발암물질
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다른 유화제인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또한 유해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다.
막걸리에 첨가되는 Sorbitan(소르비탄)
역시 유화작용을 한다
막걸리의 제품설명서에 기재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화제
로서 식품에 사용된다.
청량음료의 유화에도 쓰인다.
또한 껌 베이스로서
츄잉 껌에도 사용된다.
식품첨가물 유화제가
대장암 발병위험 높인다
막걸리는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다양한 유산균을 함유하고있어
이러한 유산균은 장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고
장내 미생물 균형을 개선하여
소화기능을 향상시킨다.
유산균은 장 운동을 촉진하고
배변을 원활하게 하여 변비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막걸리의 부작용】
그러나 막거리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각종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2부에 계속)
- 이전글국민들이 즐겨 마시는 국민 음료인 식품첨가물『아스파탐』막거리는 안전한가!!?(2부) 25.05.22
- 다음글우리는 필수 단백질 공급원인 육고기를 언제 어느 정도를 어떻게 섭취해야 하는가!? 25.05.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