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환경일보 : 환경지킴이


 

자연생태 2025년까지 도시 훼손지 25곳, 생태계 복원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휴먼아카데미 댓글 0건 작성일 20-11-20 11:29

본문

▷ 환경부-8개 지자체-학회-협회, '도시생태복원 25+ 업무협약' 체결

▷ 2022년까지 8곳을 모범사례로, 그린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총 25곳의 도시지역 훼손지 생태복원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11월 19일 오후 서울 한강홍수통제소 대회의실에서 8개 지자체*,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한국생태복원협회와 '도시생태복원 25+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경기도, 대전시, 화성시, 청주시, 밀양시, 대구시 달서구, 고창군, 곡성군


이번 업무협약은 그린뉴딜 종합계획에 포함된 '도시생태복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시생태복원사업'은 전체 인구의 약 92%가 살고 있는 우리나라 도시지역의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원하여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으로, 


그린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도시 내 훼손지역 25곳을 생태적으로 복원하게 된다. 


환경부, 해당 지자체, 관련 학회·협회는 2022년까지 8개 지자체의 도시 내 자연성 회복 모범사례를 만들어 2025년까지의 사업을 선도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도시생태복원사업에 대한 예산을 지원하고, 그린뉴딜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제도개선으로 생태복원사업(자연환경복원사업)의 성과 제고 및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자연환경복원업이 신설*되고, 사업 후보지 선정부터 사업계획의 수립·시행 및 유지·관리 등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절차**가 마련된다. 

* 연내 자연환경복원업 신설을 위한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안 발의

** 자연환경복원사업 절차를 신설하는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안 기발의(9.8., 안호영 의원)


지자체는 지역주민·시민단체·전문가 등과 협의체를 구성하여 이해관계자 소통을 바탕으로 한 성공적인 생태복원 사업을 추진한다.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와 생태복원협회는 관련 기술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추진하는 8곳의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중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경기 화성 건달산-기천저수지 생태축 복원) 시가지화, 지방도 건설 등으로 단절된 육상생태계 녹지축과 훼손된 기천저수지에 습지복원, 천변 수리대 조성, 생태숲 조성 등을 통해 맹꽁이, 소쩍새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복원한다.


(경기 안산 매립지 생태복원) 1994년까지 쓰레기를 매립하던 곳으로 식생대 조성, 주변 습지와의 생태적 연결 등을 통해 삵, 수달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복원한다.


(청주 우암산 생태축 복원) 무분별 경작 등으로 원래의 지형이 훼손된 우암산과 오염된 웅덩이 등에 생태습지, 삭생대, 생태통로 등을 조성하여 하늘다람쥐, 참매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복원한다.


(대구 도원천-달성습지 생태축 복원) 콘크리트 등으로 훼손된 지역을 복원하여 경관을 개선하고 도룡뇽, 반딧불이 등이 서식하는 자연환경을 조성한다. 


이외 밀양시 용두산, 곡성군 동악산, 대전 추동습지-장동천-계족산, 고창 문수산 등의 훼손된 지역에 대해 생태복원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이번 8곳의 도시생태복원사업으로 총 75만 6,381㎡(약 75.6㏊)에 달하는 훼손지역이 생태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심 열섬현상 완화*, 탄소저장 효과**, 경관개선, 생태휴식공간 제공 등의 생태계서비스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했다. 

* 런던시의 생태공간이 도심 열섬 저감(2℃)에 기여하는 효과를 연간 5억9천4백만 파운드로 산정(Economics, V., 2017)

** 경기 4개(안양, 수원, 성남, 과천) 도시 생태공간의 연간 탄소저장량은 29.6tC/㏊('09년, 경기개발연구원)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도시생활은 자연 그대로를 많이 가진 도시"라며, 


"이번 업무협약이 우리 국민의 약 92%가 거주하는 도시지역의 생태계 건강성을 지키고, 더 나아가 전 국토의 생태계를 녹색복원하기 위한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출처: 환경부

사진출처: 환경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카테고리

카테고리
 공지사항
 소개글
 갤러리
 종합뉴스
 칼럼.기고
 동영상뉴스
환경뉴스

공지사항

프리미엄

포토뉴스

포토뉴스